I'm curious about~26 더블딥/동행종합지수/등록발행/디레버리징/디플레이션 제가 평소에 자세히 몰랐던 경제용어를 익히기 위한 카테고리입니다. 열거된 항목들은 주제가 연결되지는 않습니다. 더블딥 경기가 두 번(double) 떨어진다(dip)는 뜻으로, 경기침체가 발생한 후 잠시 경기가 회복되다가 다시 경기침체로 접어드는 연속적인 침체 현상을 의미한다. 더블딥(double dip)은 2001년 미국 모건스탠리사의 이코노미스트였던 로치(S. Roach)가 미국경제를 진단하면서 처음 사용한 용어로, 경기순환의 모습이 영문자 "W"를 닮았다 해서 "W자형 경기변동"(또는 "W자형 불황")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경기침체가 발생하고 잠시 회복 기미가 관측되다 다시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에 빠지는 것으로, 1980년대 초 있었던 미국의 경기침체는 더블딥의 예로 자주 거론된다. 당시 미.. 2023. 5. 30. 단리/복리/담보인정비율(LTV)/대손충당금적립비율/대체비용리스크/대체재/대출금출자전환 제가 평소에 자세히 몰랐던 경제용어를 익히기 위한 카테고리입니다. 열거된 항목들은 주제가 연결되지는 않습니다. 단리/복리 단리(simple interest)는 원금에 대해서만 약정된 이율과 기간을 곱하여 이자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1억 원을 만기 2년, 연 3%에 단리로 정기예금을 하는 경우 2년 후 원리금은 106백만원[100백만원(1+3%×2)]이다. 이때 실효수익률은 연 3%(6%/2)로 표면금리와 동일하다. 반면 복리(compound interest)는 일정 기간마다 발생한 이자를 원금에 합산한 후 그 합산금액에 대한 이자를 다시 계산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1억 원을 만기 2년, 연 3%에 6개월 복리(6개월마다 이자를 원금에 가산)로 정기예금을 하는 경우 2년 후 원리금은 106... 2023. 5. 25. 긴급수입제한조치/긴축정책/낙수효과/노동소득분배율/녹색GDP 제가 평소에 자세히 몰랐던 경제용어를 익히기 위한 카테고리입니다. 열거된 항목들은 주제가 연결되지는 않습니다. 긴급수입제한조치 긴급수입제한조치 즉, 세이프가드(sageguard)란 특정 품목의 수입이 급증하여 국내업체에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거나 그럴 우려가 있을 경우, 수입국이 관세 인상이나 수입량 제한 등을 통해 수입품에 대한 규제를 할 수 있는 제도이며 무역장벽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현재 세계무역기구(WTO; World Trade Organization)도 가입국들이 세이프가드 조치를 할 권리를 인정하고 있다. 수입 물품에 대한 수량제한, 관세율 조정 및 국내산업의 구조조정을 촉진하기 위한 지원정책 등이 세이프가드로 동원될 수 있다. 그러나 세계무역기구의 세이프가드 협정은 제한적으로 취해져야 하고.. 2023. 5. 20. 기준금리/기준환율/기축통화/기펜재/기회비용 제가 평소에 자세히 몰랐던 경제용어를 익히기 위한 카테고리입니다. 열거된 항목들은 주제가 연결되지는 않습니다. 기준금리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결정하는 정책금리를 말한다. 한국은행과 금융기관 간에 환매조건부채권매매(RP)와 대기성 여수신 등의 자금거래를 할 때 기준으로 적용된다. 2008년 3월부터 한국은행은 정책금리의 실체를 종전의 '익일물 콜금리 목표'에서 '기준금리(base rate)'로 변경하였다. 콜금리는 대표적인 시장금리 중 하나로 초단기 금융시장의 자금상황을 반영하는 금리이다. 그러나 1999년 콜금리목표제를 도입한 이후 콜금리가 자금수급사정에 관계없이 목표 수준에서 고정되면서 콜금리의 시장신호 전달 및 자금배분 기능이 약화되었고, 단기자금거래가 콜시장에 과도하게 집중되어 금융기관 간 R.. 2023. 5. 14. 근원인플레이션율/금산분리/금융안정지수/기대인플레이션/기저효과 제가 평소에 자세히 몰랐던 경제용어를 익히기 위한 카테고리입니다. 열거된 항목들은 주제가 연결되지는 않습니다. 근원인플레이션율 근원인플레이션율(core inflation rate)은 물가변동을 초래하는 여러 요인들 가운데 일시적인 공급충격의 영향을 제외한 기조적인 물가상승률을 말한다. 대부분은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에서 농산물 가격, 국제원자재가격 등의 변동 부분을 제거하여 계산한다. 우리나라는 근원인플레이션 지표로 농산물 및 석유류제외지수를 작성해 왔으며, 2010년 기준 지수부터 OECD 방식에 의한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를 추가로 작성하고 있다. 근원인플레이션율은 물가에 미치는 단기적 충격이나 불규칙 요인이 제외되어 기조적인 물가상승의 흐름을 포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는 반면 일반 국민이 .. 2023. 5. 12. 국부펀드/국제수지/국제원유가격/규모의경제/그린본드 제가 평소에 자세히 몰랐던 경제용어를 익히기 위한 카테고리입니다. 열거된 항목들은 주제가 연결되지는 않습니다. 국부펀드 국부펀드(sovereign fund)는 주로 투자수익을 목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국내외 자산에 투자·운용하는 국가보유투자기금을 말한다. 국부펀드는 운용목적이나 투자자산 선택 등에서 사모펀드, 연기금 등과 유사한 면이 있으나 소유권이 민간이 아니라 국가에 있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국부펀드의 종류는 재원을 조달하는 방법에 따라 상품펀드와 비 상품펀드로 나누어진다. 상품펀드의 재원은 국가기관의 원자재 수출대금 또는 민간기업의 원자재 수출소득에 대한 세금 등 정부의 외화수입으로 조달되며 비 상품펀드의 경우는 국제수지 흑자로 축적된 외환보유액, 공적연기금, 재정잉여금 등으로 조달된다... 2023. 5. 11. 국가경쟁력지수/국가신용등급/국내총생산(GDP)/국내총투자율/국민총소득(GNI) 제가 평소에 자세히 몰랐던 경제용어를 익히기 위한 카테고리입니다. 열거된 항목들은 주제가 연결되지는 않습니다. 국가경쟁력지수 국가경쟁력은 국제경쟁력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흔히 한 나라가 사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해 국민경제의 성장 및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이끌어내는 능력을 말한다. 국가경쟁력지수는 국가경쟁력을 주요 구성요소별로 평가, 합산해 지수화한 것으로 관점에 따라 상이할 수 있는데, 현재 널리 알려진 것으로는 세계경제포럼(WEF)과 국제경영개발원(IMD)에서 편제하고 있는 두 가지가 있다. 세계경제포럼은 하버드경영대학원의 도움을 얻어 주요 국제기구와 산업계 인사들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 등을 토대로 매년 세계 각국의 국제경쟁력지수를 발표하고 있다. 동 지수는 성장경쟁력과 미시경쟁력으로 구성되어 있으.. 2023. 5. 9. 입술에 붙이는 수면테이프 사용 사례/후기, 주의사항(코골이 있는분) 수면테이프 사용 사례 수면테이프는 수면 시 입이 벌어지는 것을 막아서 구강호흡방지에 도움을 주는 입술에 붙이는 테이프입니다. 저도 몇 달 전 우연히 의학 관련 유튜브 영상을 보다가 알게 된 후 구매하여 써 본 지 꽤 되었습니다. TV에서 일부 연예인이 수면테이프를 사용하는 모습이 나오기도 해서 많이 알려졌었나 보더라고요. 저는 자는 도중에 가끔 입을 벌리고 자서 입 안 전체가 말라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자다가 깨어보면 침도 삼키기 어려울 정도로 혀와 잇몸 모두 완전히 말라 있었는데 이것은 구강 건강에 굉장히 안 좋다고 하네요. 그리고 저는 어깨가 아파서 항상 똑바로 누워 자는데 그러다 보니 턱이 치켜 올라가면서 입이 자연스럽게 벌어지고 가끔씩은 깊은 잠에 빠지기 직전 코를 고는 듯한 느낌으로 입.. 2023. 5. 7. 골디락스경제/공개시장운영/공공재/공급탄력성/공매도 제가 평소에 자세히 몰랐던 경제용어를 익히기 위한 카테고리입니다. 열거된 항목들은 주제가 연결되지는 않습니다. 골디락스경제 골디락스경제(Goldilocks economy)는 경기과열에 따른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에 따른 실업을 염려할 필요가 없는 최적 상태에 있는 건실한 경제를 가리킨다. 이는 영국의 전래동화인 골디락스와 곰 세마리에 등장하는 금발머리 소녀의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동화에 따르면 엄마 곰이 끟인 뜨거운 수프를 큰 접시와 중간 접시 그리고 작은 접시에 담은 후 가족이 이를 식히기 위해 산책을 나갔는데, 이 때 집에 들어온 골디락스가 아기 곰 접시에 담긴 너무 뜨겁지도 않고 너무 차지도 않은 적당한 온도의 수프를 먹고 기뻐하는 상태를 경제에 비유한 것이라 한다. 즉 경기과열이나 불황으로 인한 높.. 2023. 5. 6. 경제성장률/경제심리지수/경제후생지표/고용률 제가 평소에 자세히 몰랐던 경제용어를 익히기 위한 카테고리입니다. 열거된 항목들은 주제가 연결되지는 않습니다. 경제성장률 경제성장률이란 일정 기간(분기 또는 연간) 중 한 나라의 경제규모, 즉 국민소득 규모가 늘어난 정도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국민소득은 생산활동의 범위나 생산물의 가치평가 방법 등에 따라 여러 가지 개념으로 나뉘지만, 경제성장률을 계산하는 데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국민소득은 각 경제활동부문에서 창출해낸 실질 부가가치의 합계, 즉 실질국내총생산(실질GDP)이다. 따라서 경제성장률은 대부분의 경우 실질GDP 증가율을 의미한다. 한편 수 개년 동안의 연평균 경제성장률을 계산하고자 할 때에는 복리 연율의 산식을 이용하여 연평균 경제성장률을 산출한다. 경제심리지수 경제심리지수란 기업자 또는.. 2023. 5. 5.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