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쓸모있는 정보

'피그말리온 효과' 간단히 알아보기

by 해낼 2023. 7. 2.

피그말리온(Pygmalion) 효과란?

 

피그말리온 효과는 간단히 말하면 사람들의 기대나 믿음이 다른 사람의 행동 및 성과에 영향을 주는 현상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피그말리온은 무슨 뜻일까요? 이 용어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피그말리온이라는 인물로부터 유래하였는데요, 조각가인 피그말리온이 자신이 만든 조각상인 갈라테아(Galatea)에게 사랑을 느끼게 되어 살아 있는 여인으로 만들어내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 신화에서 피그말리온은 자신이 창조한 것에 대한 사랑과 열정으로 인하여 창작물이 현실로부터 분리되어 생명을 갖게 됩니다. 

따라서 "피그말리온"은 일반적으로 자신이 만든 것에 대한 애착이나 열정, 창의력으로 인해 그것이 현실성을 띄게 되는 의미에서 사용됩니다. 특히 인간의 창조적 능력이나 영감에 의해 만들어진 작품을 피그말리온이라고 여기면, 그 작품이 자신의 상상 속에서 탄생하여 현실로 구현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열정과 창의력

 

피그말리온 효과는 주변 사람들이 다른 사람에 대해 긍정적인 기대를 가지면, 그 사람은 그 기대에 부응하려는 경향을 보이게 됩니다. 즉, 사람들이 다른 사람을 더 똑똑하고 능력 있는 사람으로 여기면 그 사람은 그에 맞추어 행동하고 노력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반대로 주변 사람들이 부정적인 기대를 가지면 그에 맞추어 행동하게 됩니다.

이러한 효과는 교육, 사회적 상호작용, 리더십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교사가 학생에게 높은 기대감을 갖고 교육하면 학생은 높은 성적을 얻으려고 노력하게 됩니다. 또한 리더가 팀원들에게 믿음과 자신감을 보여주면 팀원들은 그에 부응하여 성과를 높일 가능성이 커집니다. 

따라서 피그말리온 효과는 우리의 기대와 태도가 주변 사람들의 성과와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긍정적인 기대와 지지를 통해 주변 사람들을 도와주고 격려하는 것은 그들의 성공을 촉진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피그말리온 효과_기대와 믿음

 

피그말리온 효과라는 말은 아일랜드 작가 조지 버나드 쇼(George Bernard Shaw)가 1913년에 발표한 연극인 피그말리온이라는 희곡에서 유래되었으며, 이 작품은 영국의 상류사회와 중산층, 그리고 사회적 계급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희곡의 주요 캐릭터 중 하나인 헨리 히긴스는 런던의 언어학자로, 영어 발음과 억양에 대한 연구로 유명한 인물입니다. 그는 거리에서 거지로 생활하던 엘리자 두리틀(Eliza Doolittle)을 만나게 되고, 그녀의 사투리와 거친 표현 방식을 완전히 변화시켜서 그녀를 사교계의 우아한 여성으로 만들 수 있을지에 대한 실험을 진행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헨리 히긴스와 엘리자 사이에는 유쾌하면서도 갈등 관계가 형성되고, 사회적 계급과 개인적인 정체성에 대한 질문이 제기됩니다. 

이 희곡은 언어, 사회 계급, 교육, 성별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사회적인 변화와 개인의 자아 발견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또한 이 작품은 피그말리온 효과를 증명하는 예시로 자주 언급되기도 합니다. 헨리 히긴스가 엘리자에게 가진 기대와 자신의 교육을 통해 그녀를 변화시키고, 그에 따라 엘리자가 현저한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 이 효과를 잘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이처럼 타인의 기대나 관심으로 인해 능률이 오르거나 결과가 좋아지는 현상을 피그말리온 효과라고 하며, 이와 유사한 용어로 심리학에서 사용되는 로젠탈(Rosenthal) 효과가 있으며, 이는 교사나 연구자의 기대나 믿음이 학습자나 연구 대상자의 성과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합니다. 

 


피그말리온 서적

 

피그말리온 : 네이버 도서

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

search.shopping.naver.com

 

피그말리온 연극

 

피그말리온 | 왓챠

코미디 · 연극 원작 · 1시간 35분

watcha.com

댓글